아파트 면적 바로 알기

우리가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임차하려고 할 때 면적을 있는 그대로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면적을 구분하는 기본적인 개념을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파트 면적은 전용면적, 서비스면적, 주거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 실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으로 구분되는데 각 면적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 또는 이미지를 확인해 보세요.

전용면적 각 세대가 독립적으로 생활하고 사용하는 실내 면적으로 방, 거실, 침실, 화장실, 주방, 현관 등의 주거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을 포함하고 발코니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발코니는 서비스면적이라고 합니다. 발코니를 실내 주거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전용면적과 서비스면적을 합해서 실면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서비스면적 발코니 면적
주거
공용면적
아파트 계단, 복도, 주현관 등의 공용면적을 더한 것
기타
공용면적
단지내 관리사무소, 경비초소, 지하층, 노인정 등의 공용면적을 더한 것
실면적 전용면적 + 서비스면적
공급면적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계약면적 공급면적 + 기타공용면적
전용 공급 주거공용 서비스 계약 기타공용면적 바로 분류
전용 공급 주거공용 서비스 계약 기타공용면적 바로 분류
전용 공급 계약면적 비교
전용 공급 계약면적 비교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공급면적(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은 우리 집은 몇 평이에요~ 라고 말할 때 또는 부동산 공인중개사가 집을 소개할 때 흔히 사용합니다.

전용면적은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LH(엘에이치)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는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LH에서 말하는 주택 37형은 전용면적이 약 37㎡(제곱미터)라는 뜻이고, 46형은 전용면적이 약 46㎡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여러 상황에서

  • 부동산 중개인과 상담할 때
  • 아파트 분양·임대 공고문을 볼 때
  • 인터넷의 부동산 매물 정보를 볼 때

아파트 면적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똑바로 알고 있지 않으면 자칫 잘못 이해하고 잘못 판단하여 손해를 보거나, 우리 집 평수가 작네? 라고 오해하게 됩니다. 집을 팔거나 임대하는(빌려주는) 사람 입장에서는 아파트 면적을 조금 더 넓게 표현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상대방이 아파트의 어떤 면적을 말하는 것인지 분명히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